Fascination
article thumbnail
[LinuxProgramming] Chapter 08. 프로세스
Study/Linux 2022. 6. 5. 17:15

Chapter 08. 프로세스 리눅스 프로그래밍 원리와 실제 - 창병모 교수님 8.1 쉘과 프로세스 1) 쉘 - 쉘(Shell) 사용자와 운영체제 사이에 창구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사용자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는 명령어 처리기(Command Processor) 역할 수행 * 프로세스: 실행 중인 프로그램 - 쉘의 실행 절차 쉘은 시작하면 실행 파일을 읽어 실행 시작 파일은 환경 변수와 같은 사용자의 사용 환경을 초기화하는데 주로 사용 bash의 경우 시스템 차원의 시작 파일로 /etc/profile과 /etc/bashrc를 사용하고 사용자 차원의 시작 파일로 ~/.bash_profile과 ~/.bashrc를 사용함 쉘은 시작 파일을 실행한 후에 프롬프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기다림 사..

article thumbnail
[OS] Chapter 09. 가상 메모리의 관리

[OS] Chapter 09. 가상 메모리의 관리 누워서보는 운영체제 이야기 - 김주균 교수님 # 9.1 하드웨어의 사용 ▶ 가상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상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해야 함 TLB라는 추가의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방법 페이지 테이블을 캐시와 같은 좀 더 빠른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방법 페이지 테이블의 일부분을 저장할 수 있는 다수의 레지스터를 사용하는 방법 ▶ 페이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참조비트(Reference Bit)와 갱신 비트(Modified Bit)등을 두기도 함 참조 비트: 해당 페이지가 참조되었는가를 나타내는 비트 갱신 비트: 페이지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 # 9.2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법들 * 메모리 관리 Fetch Placement Repl..

article thumbnail
[OS] Chapter 08. 가상 메모리

[OS] Chapter 08. 가상 메모리 누워서 보는 운영체제 이야기 - 김주균 교수님 ▶ 시스템은 사용자 프로그램을 메모리의 어디에, 어떻게 넣을까로부터 메모리 수용 공간까지 알아서 해결해줌 운영체제는 주어진 메모리의 크기 아래서 프로그램을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그 중에 일부분만을 메모리에 적재하되, 그것도 적재가 가능한 곳으로 흩어(비연속적) 넣어줌으로써, 사용자는 메모리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 사용자들은 자신의 프로그램이 아무리 크더라도 아무 문제없이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된다는 확신을 가지게 됨 사실은 제한적인 크기지만 엄청나게 큰 메모리가 있는 것처럼 여겨지기 때문에 가상(Virtual) 메모리라고 부름 # 8.1 가상 메모리(Virtual Vemory)를 위해서는 ▶ 모든 프로그..

article thumbnail
[OS] Chapter 07. 메모리 관리

[OS] Chapter 07. 메모리 관리 누워서 보는 운영체제 이야기 - 김주균 교수님 ▶ 메모리를 잘 관리하면 프로그램의 실행 성능을 높여 CPU의 효율적인 사용과 사용자에게의 빠른 응답성을 가능하게 하므로, 운영체제의 효과적인 메모리 관리는 당연히 요구되는 일 메모리: information을 저장할 수 있는 모든 object 넓은 의미에서의 메모리 - 캐시, 메인 메모리, 디스크(PC에서의 하드 역할을 더 큰 시스템에서 하는 것) 등 좁은 의미에서의 메모리 - 메인 메모리 7장에서는 좁은 의미의 메모리. 즉, 메인 메모리에 대해 다룰 것임 ▶ 메모리의 구성 방식을 알아보고, 그 다음 주어진 구성과 연관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고려한 관리 기법들을 차례로 알아볼 것 ▶ 프로그램과 프로세스라는 말은 특별한..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article thumbnail
[P4C] W6: Double Linked List CRUD 구현, 어셈블리로 구구단 구현, Stack 개념 공부하기
etc.../빡공팟(P4C) 4기 2022. 5. 29. 15:16

W6: Double Linked List(CRUD) 구현, 어셈블리로 구구단 구현, Stack 개념 공부하기 참고 자료: 자료구조 개념 및 구현 - 유석종 교수님(자료구조 수업 교재), Stack 참고자료 - 제공해주신 .md 파일 # 1. Double Linked List(CRUD) 구현 - SLL(Single Linked List)의 문제점: 다음 노드만 알고 이전 노드는 알 수 없음 - DLL(Double Linked List) 각 노드는 이전 노드와 이후 노드의 정보를 알 수 있음 삽입/삭제가 용이함 헤드 노드 필요: 데이터를 가지지 않고, 삽입/삭제 코드를 간단하게 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노드 head node와 tail노드를 각각 사용할 수도 있지만 교재에서는 head node만을 사용하여 ci..

article thumbnail
[Android] manifest → application → android:logo 안될 때
Study/Android 2022. 5. 26. 23:59

창업을 위한 안드로이드앱 과제를 하던 중 교재를 바탕으로 코드를 작성했는데도 actionbar에 사진이 뜨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 수정전 AndroidManifest - 수정전 MainActivity.java package com.example.project6_2; import androidx.appcompat.app.AppCompat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view.View; import android.webkit.WebSettings; import android.webkit.WebView; import android.webkit.WebViewClient; import android.widget.Button; import andr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