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리눅스 디스크 파티션
- 루트 파티션 '/' 파티션과 'swap' 파티션 2개만 있어도 리눅스 운영이 가능
> 루트 파티션만 생성하면 나머지 파티션이 모두 루트 파티션 아래 종속되기 때문에 가능
- 실무에서 리눅스를 운영할 때는 파티션을 두 개로 나누지 않고, 필요한 용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할
마운트 포인트 | 권장 크기 | 비고 |
/ | 10GB | 루트 파티션 |
/bin | 기본 명령어가 들어 있음 | |
/sbin | 시스템 관련 명령어가 들어 있음 | |
/etc | 시스템의 환경 설정과 관련된 파일이 들어 있음 | |
/boot | 4GB | 부팅 커널이 저장됨 |
/media | 외부 장치를 마운트하기 위해 제공됨 | |
/usr | 설치할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크기 다름 (주로 20GB 이내) |
응용 프로그램이 주로 저장됨 |
/lib | 프로그램의 라이브러리가 저장됨 | |
/dev | 장치 파일들이 저장됨 | |
/proc | 시스템의 프로세서 정보, 프로그램 정보, 하드웨어 정보 등이 들어 있음 | |
/tmp | 4GB | 임시 파일이 저장됨 |
/var | 10GB | 로그, 캐시 파일 등이 저장됨 |
/root | 시스템 관리자인 root의 홈 디렉터리 | |
/home | 사용자가 많을수록 많이 할당 (나머지 용량) |
사용자별 공간 |
/lost+found | 파일 시스템 복구를 위한 디렉터리 | |
swap 파티션 | RAM의 2배 정도 | RAM 부족 시 사용되는 공간 |
[출처]
- 숙명여자대학교 서버운영및보안 수업 - 이종우 교수님
- 이것이 우분투다 (개정판) - 우재남 지음
'Study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알아야 할 개념 (0) | 2021.09.27 |
---|---|
[Linux] IP 주소 설정 및 SELinux 기능 끄기 (0) | 2021.09.26 |
[Linux] CentOS 8 자동 업데이트 끄기 (0) | 2021.09.26 |
[Linux] 네트워크 정보 파악과 변경 (3) | 2021.09.26 |
[Linux] VMware의 특징 및 단축키 (0) | 2021.09.26 |